사용자
1. 삭제한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려한다
2-1. 로그인이 안 되었다.
3. 만약 북앱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넣어서 회원가입을
한 계정 이라 통합된 계정이면 비밀번호 찾기를 이용한다.
4. 사용자는 이메일 인증을 통해 임시 비밀번호를 준다
6. 임시 비번을 입력하여 로그인을 성공한다
7. 임시 비번을 받았으니 비번을 바꾼다
명수카카오@google.com 북앱의 카카오 api를 써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명수카카오@google.om 이메일로 북 앱에 비밀번호와 아이디를 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 이메일이 겹칩니다.
그래서 북앱의 회원으로 다 통합 해줍니다.
=> 통합되어있으니 이 계정은 비밀번호도 가지고 있습니다.
=> 카카오 계정을 카카오 사이트에서 삭제를 했더라도
통합된 계정은 비밀번호를 가졌으니
그대로 로그인도 가능합니다.
명수카카오@kakao.com 북앱의 카카오 api를 써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명수카카오@kakao.om 이메일로 북 앱에 비밀번호와 아이디를 쳐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2-2.
- 카카오 이메일로 카카오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 구글 이메일로 카카오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
서서버
서버 DB에 이메일이 있는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찾을려고 이메일인증을 하게 되었으니
서버는 DB를 찾게 된다 그런데
이메일이 없는걸 확인하게 된다면
서버 측에서 이 계정을 삭제한다
1. 구글 이메일로 카카오를 가입했다
2. 구글 이메일을 탈퇴한다고 카카오 계정을 못 쓰나?
3. 써질거 같은데? ㅇㅈ 쌉 ㅇㅈ
4. 왜냐면 본인인증을 했다
5. 아 이건 약간 월권인데?
6.
1. 북이라는 앱에 카카오로 로그인 했다
2. 그런데 사용자가 카카오 계정을 탈퇴했따
3. 그럼 우리가 그것을 신경써야 하는가
4.
1. 카카오 계정으로 가입했다
2. 그리고 사용자가 카카오 계정을 탈퇴했다
3. 그런데 카카오 계정으로 가입한 이메일은 구글 계정이었다
4. 구글 계정은
카카오 계정의 데이터를 삭제하지 말아야 한다
카테고리 없음